연구센터명
이화 정밀의료 혁신센터
참여교수명단
1) 센터장성명 | 소속기관 | 소속부서(교실) | 직위 |
---|---|---|---|
송태진 |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 신경과학 | 부교수 |
성명 | 소속기관 | 소속부서(교실/과) | 직위 |
---|---|---|---|
한승호 |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 해부학 | 교수 |
조도상 |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 신경외과학 | 부교수 |
임수미 |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 영상의학과학 | 교수 |
정지향 |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 신경과학 | 교수 |
안정혁 |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 생화학 | 교수 |
김지현 |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 신경과학 | 교수 |
김범산 |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 핵의학 | 교수 |
박장원 |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 정형외과학 | 부교수 |
김광현 |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 비뇨의학 | 부교수 |
류정화 |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 신장내과학 | 부교수 |
윤지영 |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 신경과학 | 부교수 |
김건하 |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 신경과학 | 부교수 |
신태영 |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 비뇨의학 | 부교수 |
전혜진 |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 가정의학 | 부교수 |
박보영 |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 성형외과학 | 부교수 |
김민혜 |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 알레르기내과학 | 부교수 |
조수범 |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 영상중재의학 | 부교수 |
김진우 |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 치과/구강외과학 | 부교수 |
장윤경 |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 신경과학 | 조교수 |
신동우 |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 신경과학 | 조교수 |
이보은 |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 영상의학과학 | 조교수 |
지용호 |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 임상유전체역학 | 임상조교수 |
연구목표
이화 정밀의료 혁신센터는 빅데이터, 유전체, 인공지능(AI) 기술을 융합하여 정밀의료 및 디지털 헬스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혁신 연구를 수행하고, 예측-진단-치료의 정밀화를 통해 실제 임상에 적용 가능한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글로벌 협력 기반 연구 및 전문 인력 양성을 통해 국내외 디지털 헬스 생태계를 선도하고자 한다.
연구내용
- 1. 빅데이터 사이언스 연구단
- • 국민건강보험공단, 국건영, KoGES 등 다양한 건강·질병 빅데이터 기반 분석
- • 환경-유전체 상호작용 분석 및 성차의학 기반 질병 예측모델 개발
- • 설명가능 AI 기반 만성질환 예측 및 조기경보 시스템 구축
- • 미국 BROAD, MGH, 영국 Bristol대학과의 글로벌 공동연구 수행
- 2. 유전체 역학 및 신약개발 연구단
- • 국내외 유전체 코호트 자료 (KoGES, UK Biobank 등) 통합 분석
- • 약물 반응성 및 부작용 예측을 위한 약물유전체 연구
- • 인공지능 기반 신약후보물질 발굴 (도킹, 분자결합 예측 등)
- • 희귀질환 및 난치질환 유전자 편집 연구 (prime editing 등)
- 3. 설명가능 인공지능 진단·치료 연구단
- • 디지털트윈, 가상현실(VR) 기반 디지털 치료제 개발
- • 신경정신질환 등 만성질환 대상 디지털 헬스 솔루션 개발
- • 병원자료와 웨어러블 센서 결합을 통한 실용화 기술 연구
- 4. 근거중심 헬스데이터 연구단
- • 디지털 헬스 기술의 임상적 유효성/안전성 평가 및 가이드라인 제시
- • 실용적 임상시험(RCT/Pragmatic) 설계 및 수행 지원
- • Global Burden of Disease와 같은 다국적 연구 참여 및 확산
연구전략
- 1. 융합형 연구 인프라 구축
- • 데이터과학, 유전체의학, AI, 임상의학이 통합된 다학제 협력 체계 운영
- • 임상교원, 기초교원, 공학·수학 분야 전문가의 유기적 연계
- 2. 국제 공동연구 및 글로벌 표준화 주도
- • 미국, 영국, 핀란드 등 해외 선도기관과 공동 플랫폼 운영
- • 국제 표준을 반영한 연구 성과 확산 및 기술이전 기반 마련
- 3. 현장 적용 중심의 실용적 기술 개발
- • 의료기관 데이터 기반 솔루션 실증 및 제품화 연계
- • 디지털 치료제, 예측모델, 진단기기 등 의료기술 상용화 추진
- 4. 전문 인력 양성 및 생태계 조성
- • 대학원, 연수 프로그램을 통한 정밀의료 전문가 양성
- • 연구소 기반 CRO 기능 도입 및 자립형 구조 확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