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여자대학교 의과학연구소



주요 서비스 바로가기
공초점현미경실
나노이미징실험실
실험동물실
동위원소실
청구서목록
교육신청

연구센터명

치의학 AI∙바이오 글로벌 혁신 연구소

1) 연구소장
성명 소속기관 소속부서(교실) 직위
김진우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치과학 부교수
2) 공동연구원
성명 소속기관 소속부서(교실/학과) 직위
송태진 의과대학 신경과학 부교수
김민지 의과대학 치과학 교수
김예미 의과대학 치과학 교수
김예미 의과대학 치과학 교수
김선종 의과대학 치과학 교수
윤혜전 의과대학 핵의학과 부교수
김충종 의과대학 내과학 교수
김광현 의과대학 비뇨기과학 부교수
신태영 의과대학 비뇨기과학 부교수
김건하 의과대학 신경과학 부교수
김영구 의과대학 신경외과학 부교수
조현혜 의과대학 영상의학과 부교수
방은경 의과대학 치과학 교수
최장환 인공지능학과 인공지능학과 부교수
이지영 인공지능학과 인공지능학과 조교수
노준혁 인공지능학과 인공지능학과 조교수
신태훈 인공지능학과 인공지능학과 조교수
김동일 데이터사이언스학과 데이터사이언스학과 부교수
강윤철 경영학과 경영학과 교수
이수영 생명과학과 생명과학과 교수
김동수 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교수
정병문 화학나노학과 화학나노학과 교수
신동해 약학과 약학과 교수
문호진 의과대학 치과학 연구교수
장영은 의과대학 치과학 임상교수
김헌영 의과대학 치과학 임상교수
박정현 의과대학 치과학 임상교수
윤규백 인공지능학과 인공지능학과 연구교수
홍소현 의과대학 내과학 임상교수
지용호 의생명연구원 의생명연구원 연구교수
오종민 예방의학교실 예방의학교실 연구교수

연구목표

디지털 기술, 인공지능(AI), 생명공학(Biotech)을 융합하여 차세대 치의학 진단 및 치료기술을 개발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첨단 치의학 연구·교육·산업화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고령화 사회와 만성 구강질환 증가에 대응하여 정밀진단, 치료예측, 조직재생 등 미래형 치의학 기술의 국제표준 선도를 지향한다.

1) 글로벌 건강 보안 증진
2) 연구 및 개발 발전
3) 건강 불평등 해결

연구내용

  • 1. AI 기반 구강질환 예측 및 진단기술 개발

    • 3D 구강영상 분석 기반의 치주질환·충치 예측 모델

    • AI 영상판독 소프트웨어 및 진단 알고리즘 고도화

  • 2. 바이오소재 및 조직재생 기술 개발

    • 골이식재, 치주조직재생용 생체재료 설계 및 평가

    • 줄기세포 기반 치아 및 뼈 조직 재생 연구

  • 3. 디지털 치의학 교육 및 시뮬레이션 플랫폼 구축

    •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을 활용한 디지털 시술 교육

    • 디지털 환자 시뮬레이터와 연계한 임상교육 시스템 개발

  • 4. 산업화 및 임상 실증 연구

    • 치과병원 연계 사용자 중심 기술 검증

    • 제품화·사업화를 위한 기술 패키징 및 글로벌 인증 대응

연구전략

  • 1. 의치학·공학 융합 기반 다학제 구조 확립

    • 치의학, 재료공학, 인공지능 분야 간 협력 연구 강화

    • 공동연구실 및 통합 데이터 분석 환경 운영

  • 2. 산학협력 및 글로벌 연계 연구 추진

    • 국내외 치과기기·바이오 기업과의 공동개발 및 임상시험

    • 국제 학술교류 및 공동특허·기술이전 전략 수립

  • 3. 디지털치의학 교육/서비스 국제표준화 주도

    • 치과임상 디지털화 교육 커리큘럼 개발

    • 글로벌 인증 및 기술표준 대응 체계 구축


이화여자대학교 의과학연구소

(우) 07804 서울특별시 강서구 마곡동로2길 25 Tel: 82-2-6986-6092,E600091@ewha.ac.kr
Copyright (c) 2013 이화여자대학교 의과학연구소 All Rights Reserved.
개인정보 처리방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