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센터명
AI, 로봇을 통한 유전암치료연구센터
참여교수명단
1) 센터장성명 | 소속기관 | 직위 |
---|---|---|
문혜성 | 이대서울병원 | 교수 |
성명 | 소속기관 | 직위 |
---|---|---|
백세현 | 이대서울병원 | 임상부교수 |
노경태 | 이대서울병원 | 부교수 |
장하균 | 이대서울병원 | 임상부교수 |
박소연 | 이대서울병원 | 임상부교수 |
김준 | 충남대학교 | 조교수 |
김장겸 | 세종대학교 | 조교수 |
연구목표
이화글로벌보건연구센터는 기후 변화에 따른 글로벌 보건 이슈에 대응하고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 이니셔티브를 주도하는 목적을 위해 중점 목표 3가지를 제시한다.
-
• 유전성 여성암(예: BRCA 관련 유방암, Lynch 증후군 관련 자궁내막암 등)의 조기 진단, 예후 예측, 맞춤 치료를 위한 AI 및 로봇 기반 정밀의료 기술을 개발하고, 국내 유전암 치료 역량을 세계적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
• 특히 AI 예측 모델, 단일공 로봇수술 기술, 디지털 트윈 기반 수술 시뮬레이션을 융합하여 환자 중심의 치료 최적화 전략을 구현하고자 한다.
연구내용
-
1. 유전암 위험 예측을 위한 AI 알고리즘 개발
• BRCA1/2, Lynch 등 유전정보 기반 위험도 평가 모델
• 임상정보, 병리데이터 통합 머신러닝 예측 시스템 구축
-
2. 단일공 로봇수술 최적화 기술 개발
• 자궁경부·난소·자궁 수술에 특화된 단일공 로봇 수술 프로토콜
• 최소침습 기술을 위한 로봇 수술 시퀀스 최적화 연구
-
3. 디지털 트윈 기반 수술 시뮬레이션 연구
• 자궁경부·난소·자궁 수술에 특화된 단일공 로봇 수술 프로토콜
• 최소침습 기술을 위한 로봇 수술 시퀀스 최적화 연구
-
4. 정밀의료 플랫폼 구축 및 임상 실증 연구
• 진단-수술-예후 추적 통합 데이터 구축
• 다학제 정밀의료 클리닉 운영 및 임상적 효과 검증
연구전략
-
1. 산부인과-외과-병리-공학 간 다학제 협력 구조 강화
• 임상의학과 공학기술의 긴밀한 융합 연구팀 운영
• 병리 데이터 및 유전체 분석팀과의 협력 체계 구축
-
2. 정밀의료 기반 실증연구와 교육 확대
• 이화의료원 내 유전암 특화 정밀의료 클리닉과 연계
• 로봇수술 교육 콘텐츠 및 AI 진단 교육 플랫폼 개발
-
3. 국제 공동연구 및 기술 사업화 추진
• 글로벌 로봇수술 기업 및 AI 기업과의 공동연구
• 유전암 치료용 소프트웨어 의료기기 인증 및 기술이전